-
- 김성기 교수님 학과 퇴임식
- 지난 9월 1일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설립의 초석이신 김성기 교수님의 정년 퇴임을 기념하는 학과 퇴임식을 거행하였습니다. 이준열 학과장님께서 김성기 교수님을 소개해 주셨고,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일원의 축하 말씀이 이어졌습니다. 교수 대표로 서민아 교수님께서 '김성기 교수님과 성균관대학교와의 인연'을 주제로 축하 말씀 전해주셨습니다. 학생 대표로 학부 학생회장 이시행 학생, 연구실 대표 문현석 박사의 축하 말씀이 이어졌습니다. 김성기 교수님께서 유쾌한 분위기 가운데 뜻 깊은 퇴임사를 전해 주셨습니다. 학과 교수님들께서 준비한 감사패, 연구실에서 준비한 김성기 교수님 피규어, 꽃바구니, 개인적으로 준비한 꽃과 선물을 함께 전달드렸습니다. N센터 입구에서 단체 사진을 남기며 김성기 교수님 학과 퇴임을 기념하였습니다.
-
- 작성일 2023-09-08
- 조회수 360
-
-
-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천권 교수, 글로벌 종양치료기업 SURGE Therapeutics 컨설턴트 합류
-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천권 교수, 글로벌 종양치료기업 SURGE Therapeutics 컨설턴트 합류 - SURGE Therapeutics 사와의 글로벌 공동 연구 및 산학 교류 강화 - 국내 바이오텍 기업과의 연결고리 역할 기대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박천권 교수가 미국의 종양치료기업인 'SURGE Therapeutics'사의 컨설턴트로 공식 합류했다. SURGE Therapeutics는 생체재료 및 약물전달 기술을 활용한 항암면역치료기술에 특화된 글로벌 기업이다. 해당 기업의 창업자인 마이클 골드버그 박사는 모더나의 창업자로 알려진 MIT 로버트랭어 교수의 지도를 받아 박사학위를 받았으며, 하버드 의과대학 부속 병원인 '다나-파버 암 연구소'에서 교수로 재직하며 회사의 핵심 기술을 개발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후 골드버그 박사는 하버드 의대 교수직을 그만두고 SURGE Therapeutics에서 종양으로 고통받는 환자를 치료하는 데 전념하고 있다. 기업 설립 이후 본격적으로 연구 개발에 박차를 가하며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고 있으며 2022년에는 330억 이상의 투자를 유치하는 데 성공하여 큰 화제가 되었다. 최근에는 미국 FDA로부터 임상시험 승인을 받아 현재는 임상 1상 시험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해당 기업에 공식 컨설턴트로 합류하게 된 성균관대 박천권 교수는 국내외 바이오기업, 병원과 협업하여 신개념 치료제를 꾸준히 개발하였으며 학계에서는 박 교수의 전문성과 다양한 경험이 SURGE Therapeutics의 기술 개발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앞으로 박천권 교수는 컨설턴트로 활동하며 항암면역치료기술을 공동 개발할 예정이며 국내 바이오텍 회사와 SURGE Therapeutics의 연결고리 역할도 할 것으로 알려졌다. 박천권 교수는 "미국 임상에 진입할 정도로 탄탄한 기술력을 갖고 있는 SURGE Therapeutics에 합류하게 되어 매우 기쁘다"며 "앞으로 컨설턴트로서 역할을 다하며 국내 바이오텍 회사의 연구 개발에도 긍정적인 도움을 줄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소감을 밝혔다.
-
- 작성일 2023-07-27
- 조회수 730
-
- 신임교수 손한샘 교수 부임
- 우리 학과에 이번 학기부터 손한샘 교수님이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손한샘 교수님은 카이스트에서 학사 및 석사 하위를 받았습니다. 이후 메사추세츠 공대 (MIT) 의 Mehrdad Jazayeri 교수의 연구실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근무하셨습니다. 현재 연구 관심 분야는 인지 / 시스템 신경과학으로 행동 실험, 전산 모델링 (예시 : 베이지안 이론), 사람을 대상으로 한 신경이미징 (예시 : EEG/fMRI) 및 영장류의 진기생리학 등의 접근법을 기반으로 연구하고 있습니다. 환영합니다!
-
- 작성일 2023-04-03
- 조회수 1969
-
- 신임교수 박한규 교수 부임
- 우리 학과에 이번 학기부터 박한규 교수님이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박한규 교수님은 서울대학교 전기컴퓨터공학부에서 학사를 마친 후 석사와 삼성전자 재직기간동안 반도체 집적회로 경험을 쌓고 캡슐내시경 관련연구를 진행하였으며, Georgia Institute of Technology에서 폐회로 신경자극을 이용한 고양이 걸음걸이 향상에 관련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습니다. 그후 Texas A&M University에서 5년간 조교수로 있으면서 전기자극을 이용한 신경신호 조절 및 신경보철 시스템 설계 관련하여 재미있는 연구들을 진행하였습니다. 연구의 주 목적은 인간의 불완전한 운동능력의 보완 및 외상후의 재활이며, 최근 인간 증강 및 운동능력 향상에도 그 활용범위를 넓히고 있습니다. 이러한 신경보철 시스템을 신경계와 효율적으로 소통하게 하면서도 최소한의 크기와 전력소비를 갖도록 디자인 하기 위한 반도체 집적회로 기반 생체모사회로의 설계에 연구의 중점을 두고 있으며, 그 효과를 사람 및 동물 실험을 통해 철저히 검증하고 있습니다. 환영합니다!
-
- 작성일 2022-09-05
- 조회수 3965
-
-
- 임은지 학생, ISMRM Summa Cum Laude 수상
- 2022년 국제자기공명의과학회 (International Society of Magnetic Resonance in Medicine)에서 GBME 박사과정 임은지 학생 (지도교수: 박재석 교수)이 전체 초록 중 최상위 5% 초록에 수여되는 Summa Cum Laude를 수상하였습니다. 이 학생은 “Self-calibrating aliasing-controlled simultaneous multi-slice image reconstruction from generalized 3D Fourier encoding perspective”라는 제목의 연구결과를power pitch로 발표했습니다. 이 연구는 다중대역 MRI에서 가변밀도 샘플링 및 3D Fourier 신호 모델을 통해, 레퍼런스 신호 샘플을 얻기 위한 부가적인 영상 획득 없이 저해상도 레퍼런스 신호 샘플을 영상 신호와 동시에 획득하고 조정 및 복원에도 이용함으로써 획득 데이터에 중첩되어 있는 다중 밴드의 신호를 각 단층 신호로 정확하게 분리 복원하게 하는 기술입니다. [그림 1] 학회 배너 및 수상 내역 페이지 [그림 2] 주요 연구 내용 [그림 3] 주요 결과 [그림 4] 학회 발표 사진
-
- 작성일 2022-06-15
- 조회수 2529
-
- SKKU Teaching Award 수상자 선정 _ 이준열 교수
- 우리 대학은 SKKU Teaching Award 수상자로 한옥영(학부대학), 윤민향(학부대학), 백영선(유학.동양학과), 황호덕(국어국문학과), 오종우(러시아어문학과), 이아름(철학과), 구정우(사회학과), 서미혜(미디어커뮤니케이션학과), 이승덕(경제학과), 심수옥(경영대학), 배상훈(교육학과), 김보성(한문교육과), 이진민(디자인학과), 송창식(화학과), 한태희(반도체시스템공학과), 이대호(인터랙션사이언스학과), 구자춘(기계공학부), 이의경(약학과), 권대혁(융합생명공학과), 이준열(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 등 총 20명의 교수를 선정했다. SKKU Teaching Award 제도는 교육의 질적 향상을 선도한 교강사를 선정해 포상하는 영예로운 상으로, 교육 역량이 뛰어난 교강사의 자긍심과 명예를 드높이고, 양질의 교육 제공을 위한 동기부여를 진작, 확산시키는 데 목적을 두고 있다. GBME 학과에서는 이준열 교수가 수상하였다. SKKU Teaching Award 시상식은 오는 5월 13일 금요일 오후 3시 600주년기념관 제1회의실에서 개최될 예정이다. 문의 : 교무처 교무팀(02-760-1055 / pleasemi@skku.edu)
-
- 작성일 2022-06-15
- 조회수 1725
-
- 신임교수 김형구 교수, 이정승 교수 부임
- [왼쪽 : 김형구 교수님, 오른쪽 : 이정승 교수님] 우리 학과에 이번 학기부터 김형구 교수님과 이정승 교수님이 함께 하게 되었습니다. 김형구 교수님은 컴퓨터 공학을 전공하고 프로그래머로 일하다가 뇌에 흥미를 느껴, 원숭이의 시각 피질에 관한 연구로 석사와 박사를 받았습니다. 쥐에서 도파민의 활동에 관한 연구로 박사 후 연구를 수행한 후에 성균관대학교 IBS 뇌과학이미징 연구단과 글로벌바이오메디컬공학과에 조교수로 부임하였습니다. 행동의 변화를 유발하는 뇌의 학습 원리를 연구하며, 인공지능에 적용할 수 있을 만한 일반 지능의 원리를 찾고자 합니다. 또한 중독과 같은 이상 행동을 계산론적으로 이해하는 연구에도 큰 관심이 있습니다. 이정승 교수님은 연세대학교 생명공학과에서 학사 및 박사 학위를 받았습니다. 이전 연구는 성공적인 줄기 세포 공학 및 조직 재생을 위한 새로운 기능성 생체 재료 개발에 초점을 맞췄습니다. 이후 Massachusetts Institute of Technology(MIT)의 Robert Langer 교수와 Giovanni Traverso 교수 연구실에서 박사 후 연구원으로 있으면서 연구 분야를 중개 공학(Translational Engineering)로 전환하였습니다. 그리고 질병 치료 목적의 스마트 센서 및 전달 플랫폼을 위한 새로운 기술을 개발했습니다. 현재 연구 관심은 면역 조절 및 조직 복원을 위한 새로운 생체 재료 개발에 있습니다. 또한, 차세대 줄기 세포 치료제 개발을 위해서도 지속적으로 노력하고 있습니다. 환영합니다!
-
- 작성일 2021-03-04
- 조회수 4008
-